본문 바로가기

Photography

콜핑 제품촬영 [ 실내/야외 촬영 ]

2018년 상반기는 필자의 디자인 인생 중 가장 치열한 시간이었다.

"K"사의 담당자와의 사전미팅, 계약, 그리고 촬영을 시작한 2월부터 카탈로그가 납품된 6월까지.

 

2018년 초 필자는 계약을 하게된다.

"K"사의 용품 카탈로그 촬영과 카탈로그 제작에 대한 계약이다.

 

야외촬영지로 제주도를 선정, 절기상의 문제가 있어 최대한 야외촬영을 빨리 진행해야했다.

- 2월 중순이 넘어가면 제주의 촬영도 문제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 -

 

최초 구정연휴를 모두 반납하고 촬영할 계획이었으나, 촬영전 확인한 제주도의 날씨는 폭설의 지속중.

폭설이 그칠때까지 잠정적 촬영연기.

우선 실내촬영을 먼저 진행하기로 했다.

 

실내촬영을 위해 업체로부터 받은 1차 촬영 샘플만 2.5톤 한차.

실내촬영 중 수시로 제주날씨를 확인하고, 2월 말부터 3주간의 제주도 촬영진행.

하루최고 4동의 텐트를 촬영하기 까지 했으니, 얼마나 빡센 일정이었는지...

(야외 텐트 촬영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잘 이해하기가 어렵겠지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겨울철이 텐트 촬영은 통상 하루 1동이며, 하루 1동이라고 해서 여유있거나, 널널하게 촬영되지도 않는다.)

제주도 촬영을 위해 실고간 텐트와 용품들은 화물차 2차 분량이었다.

 

본 촬영을 하기전, 필자는 평소보다 사전준비를 더욱 철저히 했다.

기존의 촬영장비 체크 및 확인, 필요한 촬영장비 구매, 노후된 촬영장비 교체 등등.

필자의 경험을 비추어 볼때 촬영할 제품의 량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촬영일정이었고, 그 부족한 일정중, 장비에 문제가 발생하게될 경우, 일정에 치명적일 것이 분명했기에 평소보다 더 꼼꼼한 체크가 필요했다.

심지어, 새로이 니콘 D5도 하나 새로 영입했다.

필자가 사용하던 D700의 경우 고감도 촬영을 하기엔 적합하지 않았다는게 가장 큰 이유.

이유가 확실하다 보니 고감도 촬영에 가장 이점을 가진 기종을 구매한 것.

- 이는 촬영시간을 10분, 20분, 더 확보하기 위한 방편이다. - 

 

필자에게 야외촬영의 의미는 남다르다.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https://woomul-story.tistory.com/45?category=809768

 

제드코리아 제품촬영(제주도)

2015년이 시작은 역시나 제주도 제품촬영이었다. 아웃도어 회사 "제드코리아"의 촬영. 의뢰사는 이미 촬영을 담당하는 스튜디오가 있었지만, 진행하는 포터가 아직 아웃도어의 경험이 많지 않아 필자에게 함께 촬..

woomul-story.tistory.com

 

※ 최종적으로 카탈로그에 기재된 텐트/타프의 수는 36개이나 이는 업체의 생산 계획이 변경되어 그런 것이고, 실재로 제주도에서 촬영한 텐트류는 40개가 넘는다.

 

실내촬영분과 야외촬영분을 구분하여 포스팅 해볼까 했는데...

실내촬영분, 그러니까 스튜디오 촬영분은 크게 특이할만한 사항이 없다.

어차피 빛을 통제하여 촬영하는 스튜디오 촬영에서 기본컷, 상세컷만 촬영했는데 예전 필자의 실내촬영분과 차이가 날 이유가 없으니, 굳이 제품만 바뀐 사진을 소개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고 생각된다.

본 촬영의 실내촬영분은 아래 최종카탈로그에서 확인하는 것으로 하자.

 

 

 

그럼 3주간의 야외촬영분중 일부을 정리해보자.

 

 

 

Camera : Nikon D5, Nikon D700

Work PC : IBM

Program : Adobe Lightroom Classic, Adobe Photoshop

 

 

[ 텐트류 ]

 

제주도의 특성상 텐트류의 촬영은 대부분, 계획되로 진행되지 않는다.

바로 날씨의 문제인데, 2월 말이라 해도, 눈, 비, 바람이 언제 어떻게 바뀔지, 일기예보도 믿으면 않되는 곳이 제주이기 때문이다.

촬영일정 중 텐트는 가능한 전반부에 모두 배정했었다.

어차피 밀리겠지만 그만큼 야외촬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

전반부에 있어야 밀려도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

 

제주촬영이후, 

제품의 변경 및 교정으로 2회의 추가 촬영을 내륙에서 진행했다.

 

 

[ 소품류 ]

 

소품류의 촬영은 대부분 텐트촬영과 같이 병행되는 경우가 많다.

텐트의 세팅시 촬영할 소품이 사용되고 촬영의 중심을 바꾸면 좋은 배경이 이미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모든 소품촬영이 텐트촬영시 같이 진행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