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2011년 텐트 패키지
이전 글에 언급했듯이 필자는 2000년부터 2014년(초)까지의 데이터를 유실했다.
https://woomul-story.tistory.com/11
작업 데이터 유실
본 포스팅은 현재 필자의 가장 아픈손가락이다. 제목 그대로이다. 평소 필자는 작업 데이터 관리에 아주 철저한 편이다. 작업한 모든 데이터는 한달 단위로 정리해서 시간대 별로 백업 시디를 만들고, 그 백업시..
woomul-story.tistory.com
위의 링크는 필자의 포트폴리오에서 아주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으니, 이글을 읽는 사람이라면
가급적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후 올리는 2014년 이전의 데이터는 그나마 개인 블로그등에 짬짬히 포트폴리오 카테고리를 구축하려는 의도로
몇몇 작업물을 캡쳐한 자료가 남아 있어서 포스팅이 가능한 것이다.
※ 이시기부터 필자는 IBM 기반으로 작업을 하게 된다.
디자인 기획사 근무시 예전에 근무하던 "K"의 디자인 하청을 많이 진행했다.
불과 얼마전까지 내가 총괄하던 업무를 하청을 받아 진행하다니...
감개무량이 아니라 기분이 좀 거시기 하더먼, ㅎ
위의 2종은 같은 패턴의 바레이션 패키지다.
초창기 아웃도어 텐트의 경우, 야외촬영이 아니라 대형스튜디오(가구촬영 스튜디오)를 빌려 실내 촬영을 위주로 진행
했었으나 2000년도 중반이후부터 야외촬영의 결과물로 작업하는 스타일로 전환된다.
야외에서 촬영한 결과물을 굳이 누끼를 따서 만드는 마이너 업체들은 많았다.
야외촬영의 경우, 한번 움직이면 최소 일주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며 제한된 기한에 필요한 컷을 완성해야 하기때문에, 사전 기획과 현장의 불확실요소(기상)에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소품의 준비 역시 철처해야 하는데, 야외촬영은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면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힘들다.
위의 두패키지는 조금 새로운 시도로 야외촬영된 결과물에 페인터를 이용하여 리터칭한 이미지를 사용했던 패키지.
위의 패키지는 "K"사의 텐트 칼라박스 기본형의 바레이션 중 하나.
"K"사에서 사용하는 카테고리별 디자인 폼은, 예전에 필자가 직접 제작했던 폼이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조금씩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으로 수월하게 하청을 진행할 수 있었다.
위의 패키지는 기존의 틀을 변형한 형태로 여건상 야외촬영의 결과물이 좋지 못해 실내촬영으로 제작된 결과물로
작업한 패키지다.
마트에 입점할 제품이라 강한 이미지를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디자인.
기존에 고정된 자리에 위치한 타이틀 라인을 중앙으로 크게 변형하여 제품과 중양에서 교차하여 시각효과를 노림.
크라프트지 느낌의 기본박스에 칼라스티커를 부착한 방식의 텐트 패키지.
크라프트지는 재활용, 자연친화적 느낌이 강하다.
당시 아웃도어 업계에서는 대부분 일본의 스노우피크사 스타일의 스티커 패키지를 카피하곤 했다.
화이트 박스에 적당히 작은 사이즈의 칼라 스티커.
이런 스타일이 스노우피크사의 전통 패키지 방식인데, 국내 업체들은 칼라 스티커 사이즈를 확대해서 사용하곤 했다.
필자는 화이트 박스 베이스가 아웃도어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에코관련 일반상품들의 경우 대부분 크라프트 재질의 박스들이 유행하고 있던 시기였고.
크라프트의 느낌은 자연친화적이라는 공식이 어느정도 성립되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크라프트지 베이스의 칼라스티커 박스를 디자인 했고, 반응은 괜찮았다.
재질만 잘 선택하면 강도면에서도 싸구려 화이트 박스보다 튼튼했다.
현재도 이런 스타일의 패키지를 제작하는 업체들이 꽤 있다.
텐트 패키지의 경우 대형 사이즈인 경우가 많다.
무게또한 20KG 넘어가는 경우도 다반사.
외형의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무거운 내용물의 온전한 보관을 위해 내부 추가 패널이나 박스를 적용하거나,
메인 재질의 강도에도 신경을 써야한다.
단순히 보이는 디자인만 신경쓰는것이 아니라 포장에 담기는 제품을 특성을 감안해야만 온전한 패키지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현재 디자이너가 작업하는 계열이 특정계열이라고 해서(예를들어, 아웃도어, 언더웨어, 등) 그 계열의 국내/외 샘플만
참고하는 것은 지극히 잘못된 선택이다.
우리가 사는 공간에는 눈만 돌리면 다양한 종류의 수많은 제품들이 존재하고, 우리는 메일 메일 그 상품들 속에서 숨을
쉬며 살아간다.
디자이너의 눈에 보이는 모든 카테고리의 비쥬얼이야말로 무한한 소스이며, 디자이너는 단지 현재 작업하는 카테고리에
이를 적용하는 능력이 필요할 뿐이다.
디자이너는 눈에 보이는 모든것을 어느정도 분석하는 능력을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한다.
포괄, 분리, 형상화를 머리속에서 끊임없이 반복하고 손으로 옮길 수 있어야 한다.
다시 강조하지만 이를 습관처럼 만드는 노력이 정말로 필요하다.
타고나면 좋겠으나, 누구나 그렇지는 못하니 당연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패키지 디자인은 명확한 목적을 가진다.
첫째. 제품을 온전히 보관되어야 한다.
둘째, 패키지 자체가 광고수단이다.
세째. 패키지가 주로 전시되는 공간의 특성을 감안해야 한다.
다른 요소들도 얼마든지 거론될 수 있겠으나
위의 세가지 요소는 패키지 디자인시 필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포인트다.
본 포스팅에 소개된 패키지 뿐만 아니라,
각종 퍼니쳐류 등 칼라, 혹은 스티커 부착형태의 많은 패키지 데이터가 남아 있지 않아 아쉽지만,
2000년~2008년간 출시된 "K"사의 모든 패키지는 필자의 작업결과물이고, 2010년~2011년에 출시된 신상품의 패키지
또한 대부분 필자의 작업결과물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Work PC : IBM
Program : adobe Photoshop, adobe Illust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