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sign

2010~2011년 각종 설명서

이전 글에 언급했듯이 필자는 2000년부터 2014년(초)까지의 데이터를 유실했다.

https://woomul-story.tistory.com/11

 

작업 데이터 유실

본 포스팅은 현재 필자의 가장 아픈손가락이다. 제목 그대로이다. 평소 필자는 작업 데이터 관리에 아주 철저한 편이다. 작업한 모든 데이터는 한달 단위로 정리해서 시간대 별로 백업 시디를 만들고, 그 백업시..

woomul-story.tistory.com

위의 링크는 필자의 포트폴리오에서 아주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으니, 이글을 읽는 사람이라면

가급적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후 올리는 2014년 이전의 데이터는 그나마 개인 블로그등에 짬짬히 포트폴리오 카테고리를 구축하려는 의도로

몇몇 작업물을 캡쳐한 자료가 남아 있어서 포스팅이 가능한 것이다.

 

※ 이시기부터 필자는 IBM 기반으로 작업을 하게 된다.

 

제품관련 디자인 업무중에서 설명서는 소비자에게 가장 필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대부분 설명서보단 패키지를 더 중요시하는 업체가 대부분이다.

장기적으로 본다면,

눈에 띠는 패키지보다 쉽고도 간결한 설명서가 소비자에겐 더 큰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PL법등이 기준에 맞춰 반듯히 명시해야 하는 항목도 필수다.

(필수항목은 대부분 생산업체에서 잘 알고 있으나 제품을 처음 생산하는 클라이언트에게는 반듯히 이를 체크해야한다.)

 

 

 

위의 두설명서는 모든 설명서를 그려서 제작한 방식이다.

2010년 초반까지 필자가 작업한 대부분의 설명서가 위의 방식을 사용했다.

이유는, 사진자료보다 그림이 더 이해가 빠르기 때문이다.

텐트와 같이 설치설명이 필요한 경우, 디자이너가 텐트설치에 익숙해 지도록 숙달하거나, 제조사측에서 디테일한 설치

과정과 포인트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아웃도어 업계에서 제품기획과 디자인을 총괄했던 필자는 이러한 설명서를 만드는 일이 수월한 편이다.

자랑같지만(흠... 자랑 맞다) 외형만 봐도 설치 과정을 어느정도 알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그리는 방식은 소비자가 이해하기는 좋으나 제작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필자의 의지대로라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그리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싶으나,

하청업체 입장에서 정해진 일정에 제작해야 하는 경우 이방식을 고수하기 힘들어진다.

 

그래서 대안으로 진행한 것이 위의 방식.

그림과 사진을 혼용해서 사용.

 

 

 

그리고 설치사진에 누끼를 딴 스타일로 변경.

시간이 많이 단축됐다.

문제는 누끼를 전제로한 제품 설치 컷이 반듯히 필요하드는 점.

그래도 이정도면 소비자가 제품을 설명하기에 깔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대부분의 업체들은 이런 제작을 하지 않고 그냥 야외에서 설치한 사진을 그대로 설명서에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설명서의 흐름을 잘 알고 있는 필자의 입장에선, 필요하니 그냥 일단 만드는 것 같아 많이 아쉽다.

 

위의 설명서는 예전에 많이 작업 많이했던 가스용품의 설명서다.

가스안전공사의 기준에따른 기본적인 사항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역시 그림으로 설명서를 제작했다.

 

텐트, 가스기구, 용품 등, 필자는 수많은 설명서를 만들었다.

위처럼 복잡한 구조의 설명서부터 아래처럼 단순한 설명서까지.

설명서 제작은 디자이너의 성품이 담긴다.

차분하지 못한 사람은 설명서 제작을 무척 답답해 한다.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필수인 현재, 필자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설명서는 위와 같은 책자 설명서가 아니다.

제품의 라벨등에 심플한 전체구조만 표시해 주고 QR코드를 이용하여 잘 만들어진 동영상 설명으로 링크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한다.

디자이너의 업무는 줄겠지만 소비자에겐 가장 이상적이지 않을까 싶다.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푸마 캐리백 포장간지  (0) 2019.08.14
2013/2014 탑앤탑 카탈로그  (0) 2019.08.14
2010~2011년 소품 패키지 (지기구조개발)  (0) 2019.08.14
2010~2011년 텐트 패키지  (0) 2019.08.14
작업 데이터 유실  (0) 2019.08.14